물댄동산 처럼
인터넷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? <컴퓨터 앞에서 전화하는 지영이>
물댄동산처럼
2000. 5. 31. 15:48
오늘의 말씀 | 갈라디아서 3장 8절 |
또 하나님이 이방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로 정하실 것을 성경이 미리 알고 먼저 아브라함에게 복음을전하되 모든 이방이 너를 인하여 복을 받으리라 하였으니 |
인터넷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?
- 1. 서론
- 선교란 단순히 다른 문화권에 나가서 전도한다는 개념보다는 '선포하다'라는 의미가
- 강하다. 하나님 나라가 가까웠음을 선포하는 것이요, 하나님의 살아 계심과 그의 구원
- 사역을 선포하는 것이다. 그렇다면, 선교의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을
- 것이다. 그 중에 인터넷을 통한 선교의 효과적인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
- 일이라 하겠다.
- 2. 본론
- 예수님이 보여주셨던 개인의 영혼구원과 사회 구원이 함께 성취되는 것을 선교라고
- 한다면, 구약에서의 선교 신학이 가능해 진다. 이에 대하여 바울 사도는 디모데에게
- 구약성서를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는 책이라 하였다(딤후 3:15-17). 또한 누가복음
- 24장의 말씀은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, 그리고 이방 선교가 구약에 계시된 하나님의
- 인류구원의 계획에 의거하고 있다는 것을 제자들이 분명히 이해하고 있었다는 것을
- 보여준다. 사도행전 15장에서 야고보의 이방인의 회심에 대한 호의적인 연설이나, 바울의
- 주장은(갈 3:8)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선교를 말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.
- 이처럼 선교는 한정된 것이 아니고 포괄적인 개념이다. 창세기에 나타난 창조의
- 사역과 범죄로 인한 심판 속에도 선교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. 인류를 구원하시고자
- 하는 하나님의 능력은 출애굽사건과 선지자들의 활동에서 많이 나타난다. 하나님은
- 자신의 구원 사역을 이루시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신다.
- 신약의 사도들은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며, 제자들을
- 양육하였다. 직접 찾아가기도 하였으며, 때로는 서신을 통하여 저들을 교훈 하였다.
- 선교의 대상도 한정되어있지 않았다. 선교를 위한 성령님의 역사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,
- 복음을 통한 교회는 급속하게 확장되어갔다. 복음이 급속도로 전파될 수 있었던 이유
- 중에, 로마의 평화를 무시할 수 없다. 언어의 통일과, 발달된 교통이 있었기 때문에
- 성령의 역사가 더 넓게 확대되었다.
- 여기에 인터넷 선교의 당위성이 있다. 지금은 로마의 평화를 넘어서는 지구촌 시대가
- 되었다. 교통의 한계를 뛰어넘는 통신의 발달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정보화 사회가
- 펼쳐진 것이다. 사도들이 문서를 통하여 복음을 전하였던 것처럼, 우리도 직접 찾아갈 수
- 없는 곳에 복음을 전할 수 있다. 그리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어 성도들을 만날
- 수 있다.
- 인터넷에는 긍정적인 면이 많지만, 부정적인 면도 많이 있다.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
- 쉽게 접근하여 전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가 하면, 적 그리스도에게 성도들이 현혹
- 될 수도 있는 가능성도 있다. 쉽게 소식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에 비하여 인간적인
- 사랑의 부재를 가져올 수도 있다. 인터넷 중심의 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이 새로운
-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지만, 소외감을 가져올 수도 있다. 청소년들의 정서를 해하는
- 사이트들 속에서 교회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? 이러한 단점들로 인하여 선교가 위협을
- 받을 수도 있다. 그렇다고 인터넷을 거부할 수는 없는 것이다. 인터넷은 하나의 도구에
- 지나지 않는다. 문제는 누가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는 것이다. 인터넷이 갖고 있는
- 단점들을 교회가 소화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서 가질 수 없는 장을 만들어야 한다.
- 사랑과 우정을 나눌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. 그리고 인터넷의 악영향을 막기 위한
- 노력들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.
- 3. 결론
- 인터넷의 악영향만 얘기하다가는 우리의 양도 빼앗길 것이며, 모든 사람이 인터넷으로
- 숨을 쉬는 세상에서 더 이상의 전도는 불가능 해 질지도 모른다. 이제는 인터넷을
- 주도해 나가야 한다.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만들어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할 뿐만 아니라,
- 인터넷에서 떠도는 영혼들을 교회로 이끌어야 한다. 기독교 상담을 전문적으로 하는
- 홈페이지, 건전한 취미를 유도하는 홈페이지, 적 그리스도를 가려내는 홈페이지, 신앙의
- 글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감동의 홈페이지가 더 많이 생겨나야 한다. 전자
- 메일(E-mail)을 통하여 성도들을 찾아가고, 목회자가 앞장서서 삶의 문제를 토론하는
- 토론의 장도 만들며, 실시간으로 만나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채팅을 통하여 저들의
- 삶에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. 본인은 이런 방법을 통하여 성도들을 상담하며, 또 믿지
- 않는 사람에게 전도를 하였으며, 효과를 거두고 있다. 이제는 인터넷을 통한 선교를
- 극대화하여야 한다. 교회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선교가 이루어져야한다.
정보화 시대에서 통신과 컴퓨터는 필수입니다.
우리 아빠는 마을에 전화가 한 대 정도 있을까 말까한 시골에서 태어났습니다.
저는 세계로 통하는 인터넷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.
교회가 앞장서서 인터넷 문화를 아름답게 가꾸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.
지영이 생각. END.
- 선교란 단순히 다른 문화권에 나가서 전도한다는 개념보다는 '선포하다'라는 의미가